본문 바로가기

복지정책

제로페이 가맹점 찾기/사용,결제방법/혜택/지역사랑상품권 관련내용정리

 

18년, 19년때만 해도 실적이 저조했던 "제로페이"가 20년에 들어 코로나19의 여파 및 긴급재난지원금과의 연계로 올해 2월까지 8900여 건이었던 가맹점 신청수가 급증하면서 도입된 지 1년 5개월 만에 가맹점 수 50만 개를 돌파하였습니다.

 

특히나 서울에서는 서울사랑상품권을 제로페이로 구입 시 15% 할인 혜택을 주는 정책을 실시하여, 서울 내 가맹점 급증에 이바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서 서울뿐만 아니라 현재는 경상남도, 김해, 남해, 창원, 하동, 합천, 산청, 곡성, 담양, 강원도 등 지역상품권 구입 시 할인 혜택을 주는 정책을 실시 중입니다.

※ 현재는 서울 및 지역사랑상품권, 온누리상품권 구매 시 할인 혜택 10% 변경됨

 

제로페이란??

 

서울시와 17개 지자체, 금융회사와 민간 간편결제시스템 사업자들이 협업하여 도입된 QR코드 방식의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입니다. 쉽게 말해 삼성페이처럼 현금이나 신용카드가 없더라도 스마트폰 간편결제 앱으로 가게의 QR코드를 찍어 결제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생소한 제로페이를 사용하는 이유(가맹점의 혜택, 소비자의 혜택)가 무엇일지 궁금하실 겁니다.

 

→가맹점의 혜택

① 수수료 절감

기본적으로 제로페이의 탄생 배경은 소상공인의 가맹점수수료 경감을 위해 개발된 것입니다. 소상공인의 전년도 매출액에 따라 가맹점수수료를 아래와 같이 차등 적용합니다. 또한 소상공인이 아닌 모든 일반 가맹점에서 이용 가능하며 일반 가맹점도 신용카드보다 저렴한 수수료율을 적용합니다.

 

 

② 지역사랑상품권과 자동 가맹

제로페이 가맹점이라면 지역사랑상품권으로 결제받고, 전년도 매출액과 상관없이 가맹점 수수료 0%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혜택

① 30%의 소득공제율

체크카드, 현금영수증과 같은 30%의 소득공제 혜택을 받아 연말정산에 큰 도움이 됩니다.

 

② 공공시설 이용요금 할인

공용주차장, 문화시설 등 공공시설 이용요금을 할인해 줍니다. 지자체 등에서는 제로페이 요금할인 대상이 되는 공공시설을 앞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대표적인 공공시설 할인 적용 대상은 서울 식물원 온실주제원 입장료 30%, 월드컵경기장 투어료 30%, 서울대공원 동물원 입장료 30%, 테마가든 입장료 30%, 서울 자전거 따릉이 일일권 50%, 따릉이 정기권 30%, 남산예술센터 입장료 20% 등이 있습니다.

 

③ 지역사랑상품권 및 온누리상품권 결제 시 10% 할인 혜택

소비자 입장에서 가장 구미가 당기는 혜택이 아닐까 싶습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서울사랑상품권 구매 시 15%의 할인에 5%의 캐시백 혜택을 주었지만 현재는 서울사랑상품권과 온누리상품권, 경남, 김해, 남해, 창원, 하동, 합천, 산청, 곡성, 담양, 강원지역상품권 구매시 10%의 할인 혜택만 주고 있습니다.

 

제로페이 가맹점(사용처)

간혹 제로페이는 서울에서만 사용 가능한 것이 아니냐고 물어보시는 분이 있는데 가맹점에만 가입되어있다면 전국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합니다. 얼마 전 50만 개의 가맹점이 돌파하면서 전국 다양한 곳에서 사용 가능하니 "가맹점찾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메인 홈페이지에서 가맹점 찾기>

▲ 제로페이 메인 홈페이지의 "소개"란에 "가맹점 찾기"를 클릭합니다.

 

▲ 지역(시도 및 시군구)을 정하여 검색할 수 있고 가맹점명과 업종 및 도로명주소를 통해 검색도 가능합니다. 서울이 아니더라도 부산시 수영구를 검색하여도 굉장히 많은 가맹점이 나오는 것을 확인 가능합니다.

 

<어플로 가맹점 찾기>

 

▲ "비플제로페이" 앱을 다운로드하여서 실행시켜주시면 왼쪽 메인화면처럼 나옵니다. 아래의 가맹점 찾기를 클릭하여 주시면 현재 내 GPS 위치상 주변의 가맹점을 찾을 수도 있고 지도를 스크롤하면서 옮기면서 "현 지도에서 검색"을 클릭하여 위치마다 주변의 가맹점도 확인 가능합니다.

 

 

▲ "목록보기"를 클릭하여 술집, 카페, 맛집, 할인마트 등 종류별로 확인도 가능하며 관련도순, 리뷰 순, 거리순으로도 확인 가능합니다.

 

사용방법은??

 

가맹점에 QR코드가 부착된 경우 간편 결제 앱을 실행하여 부착된 QR코드를 촬영하여 금액을 입력하여 결제하고, 부착되지 않은경우에는 간편결제 앱을 실행하여 QR코드를 생성하여 가맹점에게 보여주면 거기서 코드를 스캔하여 결제합니다.

 

여태까지의 결제방식과 다른 생소한 방식이라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마트폰만 있으면 전혀 어려운 방식은 아니라고 봅니다. 제로페이의 또 다른 장점 중 하나는 별도의 모바일 스마트결제 앱을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간편결제 앱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자세한 사용 가능한 어플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시중은행(기업, 대구, 농협, 광주, 국민, 경남, 부산, 우리, 전북, 수협, 하나 등)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간편결제 앱과 SK페이, 네이버페이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https://www.zeropaysupporters.or.kr/sub01_02.html

 

제로페이

간편함을 나눔으로 제로페이

www.zeropaysupporters.or.kr


2020/06/04 - [복지정책] - 근로자 휴가지원사업 12만명 선착순 신청 : 조건과 신청방법

 

근로자 휴가지원사업 12만명 선착순 신청 : 조건과 신청방법

근로자 휴가지원사업이란?? 직장 내 자유로운 휴가문화 조성을 위해 기업과 정부가 함께 근로자의 국내 여행경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기업의 어려움과 내수침체를 �

knowledge-custommade.tistory.com